[세계타임즈 = 양준호 기자]해양수산부가 '한국형 스마트항만'을 운영한다고 밝힌 지 3 년이 지났어도 실행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7일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의원(여수갑,농해수위,사진)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지난 2019년 과학기술 관계 장관회의에서 '스마트 해상 물류 체계 구축 전략'을 제시했다.
주 의원은 "그러나 현실은 이와 다르다"며 "실행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운영 조차 부실하다"고 말했다.
주 의원에 따르면 국내 자동화 항만이 가장 먼저 도입된 부산 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24 선석 장치장에 설치된 자동화 시설 하역 장비는 중국산이 86 %를 차지한 반면, 국내산은 14 %에 불과하다.
더욱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발표에 따르면 세계 선진 항만 스마트 자동화 기술을 4 세대로 볼 때, 우리나라는 2.5 세대 수준이어서 국산화 기술 개발도 시급한 실정이다.
해수부는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6천9백15억 원을 투입, 항만 지능화 사업과 함께 항만 자동화 테스트베드를 구축.운영할 방침이다.
국산화 기술개발과 운영 경험을 쌓은 뒤 부산항 제 2신항(진해 신항)에 기술을 도입해 2030년부터 본격적인 한국형 스마트 항만을 운영할 계획이다.
주 의원은 "그러나 광양항 자동화 항만 계획에는 국산화 기술개발과 연계된 스타트 업계 지원과 스마트 해상물류 업계 유치, 하역장비 국산화 생산업계 유치 등 그 어떤 계획도 찾을 수 없다"며 부실 추진 의문까지 제기했다.
부산연구원이 지난 2021년 지역 항만 관련 전문가(50 명)와 연관 업체(74 곳)를 대상으로 '스마트항만'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전문가 가운데 48 % 정도가 스마트 항만에 대해 알고 있으며, 업체들은 5.4 %에 그쳤다.
주 의원은 "항만 자동화 장비의 국산화도 답보 상태일 뿐 아니라, 스마트화 기술 개발도 선진 항만에 비해 뒤떨어져 있는 것은 해수부의 무관심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스마트항만 도입이 단순히 기계를 놓으면 구현되는 것으로 보는 해수부의 시각이 가장 큰 문제"라면서 "국내산 기술개발을 위한 연관산업 육성과 항만 물류 데이터 공유기술, 자동화장비,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IT 첨단기술의 R&D와 스타트업 발굴.육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세계타임즈 / 양준호 기자 news@thesegye.com
[저작권자ⓒ 충남세계타이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