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포항에 문 열다

한윤석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4 15:22:06
  • -
  • +
  • 인쇄
- 배터리 전주기 산업 생태계 구축 위한 국내 최초 통합형 자원순환 산업 거점 완성 -
- 경북의 다양한 사용후 배터리 산업 기반과 연계해 시너지 창출 기대 -
[세계타임즈=경북 한윤석 기자]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 있는 국가 배터리 자원순환클러스터가 4일 개소식을 하고 공식 운영을 시작한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고응 기후에너지환경부 자원순환국장,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AI과학국장, 이강덕 포항시장, 정재웅 한국환경공단 자원순환이사 등 관계기관과 산·학·연 인사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출범을 축하했다. 


국가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는 총사업비 489억원을 투입해 완공된 기후에너지환경부의 배터리 재활용 연구·지원을 위한 국가 시설로 한국환경공단이 위탁 운영을 맡는다.

1만 7,000㎡ 부지에 총면적 9,401㎡ 규모로 조성된 클러스터의 주요 시설은 기업 지원을 위한 종합정보지원센터와 기술개발을 위한 자원순환연구센터 등 두 개의 핵심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순환경제 핵심 인프라로 ▴배터리 재활용 핵심기술 개발 ▴실증 테스트베드 운영 ▴이력관리 및 표준화 컨트롤 타워 ▴기업 사업화 지원 등을 패키지로 수행하는 국내 최초 통합형 자원순환 산업 거점으로 구축된 것에 의미가 있다.

경상북도는 이번 클러스터 개소가 단순한 국가 기반 시설을 넘어 그동안 포항을 중심으로 구축해 온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 인프라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산업 전반에 걸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앞서 경상북도는 포항 영일만일반산단과 블루밸리국가산단을 중심으로 2019년 전국 최초로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운영하였으며, 2021년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 준공, 2023년 환경부 사용후 배터리 순환클러스터 지정, 2025년에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순환이용 기반 시설을 유치하는 등 지속적으로 배터리 순환 경제 산업 생태계를 확장해 왔다.

최혁준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국가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는 국가 순환 경제의 기반을 다지고 탄소중립과 자원 안보를 동시에 달성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경상북도는 앞으로도 자원순환 산업의 중심지로서, 국가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와 긴밀히 협력해 사용후 배터리 산업의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충남세계타이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